2008년 10월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사용자의 이름으로 알려진 익명의 저자가 비트코인 프로토콜의 상세사항을 인터넷에 배포했습니다.
정체를 알 수 없는 이 익명의 저자가 보낸 내용은 "비트코인(bitcoin)"이라는 일종의 디지털 화폐를 제안하는 것이었습니다.
2009년 1월 비트코인 프로토콜에 대한 실세계에서의 첫 번째 배포판이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형태로 릴리스되었습니다.
이후 첫 번째 비트코인 트랜잭션이 일어났습니다. 이 초기 사용자들은 비트코인의 엄청난 가치 상승을 목도했습니다.
2010년 2월, 세계 최초의 비트코인 거래소가, 5월 세계 최초의 비트코인 지불의 길을 열었습니다.
이것이 비트코인의 시초입니다.
비트코인이 처음 발행되었을 때는,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이 4차 산업이라는 호평과 함께 새로운 금융 생태계를 이끌어가는 신기술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습니다.
블록체인이라 함은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고 처리하는 기술로 해킹에서 비교적 안전한 기술로 평가받습니다.
블록체인 기술은 새로운 생태계를 이끌어가는 신기술이 될 것이다.
암호화폐 결제 및 거래 업체 이토로의 '요니 아씨' 대표는 지난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블록체인이 만든 혁신을 통해서 엄청난 부의 이동이 발생할 것”이라 예상한다고 말했습니다.
실제 현재 대형 금융기관뿐 아니라 대기업에서도 암호화폐 기술과 블록체인을 연구하려는 시도를 많이 하고 있습니다.
블록체인 기술은 화폐 기능을 가진 것뿐만 아니라 모든 자산을 코인 화하여 금융업계의 패러다임을 바꿔놓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추세입니다.
세계 전역의 코인 ATM 맵
비트코인 이후 여러 코인들이 발행이 되면서 코인은 그야말로 춘추전국시대가 되었습니다.
그에 따라 코인에 대한 활용도가 점점 많아지면서 실생활에서 현금 대신 사용할 수 있는 코인도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발행되는 코인마다 가지고 있는 기술을 실생활에 접목시켜 사용이 가능하게 만들어 탄생하게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의료, 쇼핑, 엔터테인먼트, 그리고 국제통화로서의 역할까지 수행할 수도 있게 된 것입니다.
현금처럼 쓸 수 있고, 현금을 대신하여 실생활에 사용이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메디블록(Medi)은 메디블록 가상화폐 서비스에 참여하는 병원 약국 제약회사 보험사 등에서 진료비 약제비 보험료 등을 지불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고 밝혔습니다.
암호화폐 거래소 빗썸(Bithumb)은 소셜커머스 위메프와 제휴를 맺고 암호화폐를 상품 구매 지불 수단으로 쓸 수 있게 추진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가격 변동이 큰 암호화폐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고자 '실시간 시세 반영'이라는 기능을 검토하여 적용시키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빗썸 이외에도 여러 중 소형 거래소에서 자사 거래소 코인을 통한 온라인 쇼핑몰 운영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삼성전자가 '갤럭시S10'에 암호화폐 지갑 ( 삼성 블록체인 키스토어) 을 탑재해 공개하기도 했습니다.
암호화폐 거래와 결제 기능을 모두 지원하는 것으로 확인이 되어 시장 판도가 크게 변화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또한 암호화폐 송금뿐만 아니라, 가지고 있는 암호화폐의 자산 가치를 확인하고 암호화폐의 구매나 환전의 기능도 지원하고 있으며,
금융상품이나 대출 서비스 등도 추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삼성전자 '갤럭시 S10'에는 암호화폐 지갑이 탑재되어 결제, 송금, 암호화폐 거래 등 다양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이 밖에도 세계 곳곳에 블록체인 도시가 계획되고 있습니다.
'비홈(BHOM)'이라는 주거 거래 플랫폼을 만든 '플래닝코리아'는 교통비를 내고, 물건을 사거나 배송받고, 통신을 이용하는 등의 거래 행위 모두를
분산된 장부에 기록하게 됩니다. 이외에 집을 사기 위해 암호화폐를 지불하고, 각종 공과금 등을 암호화폐로 지불할 수 있는 블록체인 도시를 계획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중국 정부에서는 말레이시아에 블록체인 도시 건설을 위한 지원을 하고 있다고 알려지기도 했습니다.
"블록체인 기술을 전통 산업에 접목해 말레이시아를 세계 수준의 관광지로 만들 것이다. 현재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한 구체적인 계획들이 세워져있다."라고 밝히면서, 도시 전체 기반 시설을 볼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구성할 것이며, 행정 서비스는 물론 자체 암호화폐를 발행해 경제 시스템을 형성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중국정부에서 지원하고 있는 말레이시아 블록체인 도시 홍보 사진(좌), 플레닝코리아에서 계획 중인 블록체인 도시 홍보 사진(우)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도 블록체인 사업이 진행 중입니다.
각 지역별로 블록체인 기술과 암호화폐를 통한 지역사회의 발전과 성장을 이루고 있습니다.
각 시도마다 블록체인을 이용한 암호화폐 사업이 진행 중이다.
각 지역의 특색에 맞게 블록체인을 활용한 사업을 펼쳐나가고 있고, 이 사업은 전국으로 뻗어나가 대한민국 전체를 블록체인의 하나로 연결시킬 수도 있을 것입니다.
화폐의 역사를 살펴보면 조개나 소금과 같은 실물화폐, 금이나 은과 같은 금속화폐, 우리가 흔히 현금이라 불리는 지폐 화폐
신용카드, 체크카드 등을 쓰며 거래하는 전자화폐, 탈 중앙화된 화폐의 장점과 전자화폐의 장점을 합친 암호화폐가 등장했습니다.
이 눈으로 보이지 않는 화폐로 우리는 물건을 사고 의료 서비스까지 받으며, 돈도 벌수 있습니다.
각 나라마다 암호화폐에 대한 규제가 다르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암호화폐로써 많은 일을 할 순 없지만, 훗날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그런 암호화폐가 등장하게 된다면, 더 쉽고, 더 편리하고, 더 안전한 그런 생활을 누리게 될지도 모릅니다.
유명 벤처 투자가 '팀 드레이퍼'는 "추적성을 가진 블록체인의 특성 때문에 범죄자들은 암호화폐보다 현금을 더 선호할 것이다." 라고 전했습니다.
또 '조개껍질과 금'으로 이어지는 화폐 시절을 비유해 비교하며, 화폐 발전의 역사와 흐름에 따라 미래에서 굳이 과거로 돌아갈 의미가 없음을 강조했습니다.
블록체인의 기술은 안정적인 기술이며, 많은 산업들이 놀라울 정도로 변할 것입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상상 이상의 일들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암호화폐로 집을 사고, 핸드폰 하나만 들고 전 세계를 여행하며 돌아다닐 수 있는 그런 날이 머지않아 다가올 것입니다.
'비트밋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인 단타시 알아야 할 것들 (0) | 2019.06.18 |
---|---|
리플, 이번엔 진짜 출발? (0) | 2019.06.18 |
바이낸스에서 질리카만 사도 5% 이득? (1) | 2019.06.18 |
정말 재밌는 페미코인(FEMICOIN) (0) | 2019.06.18 |
6월 EOS 대형호재? (0) | 2019.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