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트밋 칼럼

2019년 코린이들을 위한 코인 용어 총정리

암호화폐 가격 급등으로 인한 대중들의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신규 유저들을 위해 암호화폐 커뮤니티에서 사용되는 코인 용어들을 정리하였습니다.

존버 : 존X게 버틴다. 라는 뜻으로 매수 후 가격이 내려가도 매도하지 않고 있는 행위.

사토시 : 비트코인을 만든 사토시 나카모토를 이야기하며, BTC 마켓에 단위를 이야기할 때 사용된다.

ex) 1,000사토시 0.00001 btc

이토시 : 위와 동일하게 방식으로 이더리움 마켓에 단위를 이야기할 때 사용된다.

대장 : 머장이라고도 불리며, 비트코인을 뜻한다.

알트코인 : 비트코인을 제외한 암호화폐들을 뜻한다.

메이저코인 :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등 인지도가 있으면서 업계에서 유망하다고 알려진 암호화폐.

잡코: 메이저코인을 제외한 암호화폐들을 칭할 때 사용된다.

물리다: 매수후 가격이 하락되었지만 손절하지 못한 상태.

~~층 : ex )리플 1,000층에 물렸다. -> 1,000원에 물린 상태 보통 가격을 이야기할 때 사용.

보따리 : 재정거래와 같은 뜻으로 같은 암호화폐를 타 거래소에 보내 차익을 얻는 행위.

가두리 : 입출금을 중단된 거래소를 칭할때 사용.

시장가: 현재 거래가격을 포함 호가창에 올라와 있는 것을 체결할 때 사용.

지정가: 목표로 하는 가격에 미리 매수/매도를 눌러 호가창에 올리는 행위.

평단: 평균단가를 의미한다.

추매: 추가매수(추가적으로 매수),추격매수(현재가격을 따라 매수) 두 가지 의미한다.

물타기: 본인의 평균단가 보다 가격이 내려갔을 경우 매수하여 평균단가를 낮추는 행위

불타기: 본인의 평균단가보다 현재 가격이 높지만 매수하는 행위

상따: 상한가 매수

하따: 하한가 매수

경마: 주로 업비트에 대해서 사용되며, 오전 9시 전일 대비 퍼센트가 초기화될 때를 의미한다.

도미:도미넌스를 의미하며, 암호화폐 전체의 시총 비중을 이야기한다.

마진거래: 본인이 갖고 있는 암호화폐에 대해 특정 거래소에서 암호화폐를 빌려 가격이 올라가거나 내려갈 것을 예측하는 거래

공매도(롱) :마진거래 시 가격이 내려갈 것을 예상하고 매도하는 행위

공매수(숏): 마진거래 시 가격이 올라갈 것을 예상하고 매수하는 행위

증거금: 마진거래 시 실제 보유하고 있는 암호화폐

청산 : 마진거래 시 거래소에서 정한 특정 가격 이상으로 상승/하락한 경우 증거금이 사라지는 것

마진콜:청산되기 전 알림

뚝배기: 청산과 유사한 의미로, 청산이 뚝배기 깨졌다는 표현으로 사용

고래(세력) : 투자 자금이 많은 사람

개미: 투자 자금이 적은 사람

프셀 : 프라이빗 세일, 일반 대중들에게 공개되지 않은 채 암호화폐를 판매하는 것

떡상: 급상승, 급등과 같은 의미

펌핑: 가격을 상승시키는 행위

떡락:급하락, 급락과 같은 의미

덤핑: 가격을 하락시키는 행위

장투 : 장기투자

심상정:심상치 않은 상황

커플링: 두 개 이상의 암호화폐 비례하게 움직일 때

디커플링 : 두 개 이상의 암호화폐가 반비례하게 움직일 때

씨드 : 투자 자금

익절: 매도 이후 투자 자금에 비해 이득을 얻었을 때

손절: 매도 이후 투자 자금에 비해 손해를 보았을 때

우상향 : 차트를 이용할 때 사용되며, 지속적으로 상승할 때를 의미

우하향 : 차트를 이용할 때 사용되며, 지속적으로 하락할 때를 의미

리또속 : 리플한테 또 속냐라는 의미

매수벽:호가창에 매수량이 다른 틱보다 압도적으로 많을 때

매도벽:호가창에 매도량이 다른 틱보다 압도적으로 많을 때

테더: USDT를 의미 1달러 보장 암호화폐

저놓테: 저점 놓친 테더충, 가격이 상승해도 매수를 하지 않고 지켜보고 후회할 때 사용

ICO: 토큰 세일

IEO: 거래소가 검증하는 토큰 세일

KYC: 신원 확인 인증

런치패드(런패): 바이낸스의 IEO를 의미

후오비프라임(후프):후오비의 IEO를 의미

하드포크: 기존 블록체인을 사용하지 않고 새로운 블록체인을 이용하는 것

소프트포크: 기존 블록체인에서 새로운 규칙을 적용한 블록들을 생성하는 것

메인넷: 자체 블록체인

데드캣:가격이 급락할 때 잠깐 동안 상승하는 것

패닉셀:공포심에 따른 급매도

피뢰침: 차트에서 평균적으로 거래되던 가격이 아니게 거래되어 차트상 실제 피뢰침처럼 뾰족하게 보일 때 사용

에어드랍: 무료로 암호화폐를 나누어주는 행위

스냅샷: 특정 시간이나 블록 수에 특정 암호화폐 보유자들을 기록하는 행위

트랜잭션 아이디 : TXID라고 도 불리며, 암호화폐 입출금(이동) 시 발생되는 ID(해시값)

컨펌 : 트랜잭션 발생 이후의 블록 수

스캠:가치가 없으며, 사기성이 다분한 암호화폐

엽전코인 : 가격이 100원 미만인 암호화폐

동전코인 : 가격이 100원 이상이며 1,000원 미만인 암호화폐

지폐코인 : 가격이 1,000원 이상인 암호화폐

투더문 : 말 그대로 달로 간다는 뜻을 의미하며, 가격 상승을 이야기할 때 사용

설거지:가격을 기관이나 고래들이 펌핑 후 덤핑시키는 행위

꺼억: 익절 이후 트림 소리

커억:손절 이후 절규 소리

구조대:매수 평균단가 보다 낮아진 이후 가격이 평균단가로 찾아갈 때

시체: 현재 가격보다 위에서 매수한 사람들을 의미

이석우: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의 대표

해시드: 블록체인 유명 투자사

김서준: 해시드의 대표

김병건:암호화폐 거래소 빗썸을 인수중인 BK그룹 대표

차명훈 :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원의 대표

김익환 :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네스트의 전 대표

오상범 : 코인빗의 전 대표, 코인피닛의 현 대표

박현백: 코인빗의 현 대표

윗거래소,읍비트 : 업비트를 의미

ERC20 : 메인넷으로 전환되지 않고 이더리움 블록체인 상에서 있는 토큰

바낸: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를 의미

장펑자오: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의 대표

퓨어빗 : 국내 최초의 먹튀 거래소를 의미

풀매수 : 시드 모두를 매수하는 행위

풀매도: 보유 중인 특정 암호화폐 모두를 매도하는 행위

백트 :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의 모회사인 ICE가 개발 중인 암호화폐 거래소

클레이튼 : 카카오 자회사인 그라운드X가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

두나무 : 업비트의 운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