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이 처음 탄생하고 난 후, 여러 알트코인들이 생겨나면서, 암호화폐에 대한 관심은 더욱 커져 갔다.
이러한 관심들을 답변이라도 해주 듯 암호화폐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커뮤니티가 많이 생겨났다.
지금은 어떠한 곳들이 있고, 유저들은 어떤 곳을 많이 이용하는지 한번 살펴보자.
위 자료는 한 통계업체에서 조사한 암호화폐 커뮤니티 표이다.
업로드 콘텐츠, 조회 수, 댓글, 회원 수 등을 수집해서 활성화 지수라는 수치로 종합하여 나타냈다.
암호화폐 커뮤니티를 이용해 본 유저라면 한 번쯤은 이용해 보았을 커뮤니티들이 상위권에 노출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 다른 표를 보게 되면 조회 수가 50개 이상 되는 콘텐츠의 수를 그래프로 나타냈는데, 기존부터 유저들이 활발하게 이용하던 곳, 아니면 해당 커뮤니티를 이용함에 있어서 그에 따른 보상을 받게 되는 보상형 커뮤니티들만 활성화가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암호화폐 커뮤니티 중 독보적인 코인판을 빼고는 10일간 업로드되는 콘텐츠들은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모든 커뮤니티들의 공통점이라고 하면 암호화폐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공유하는 것인데, 그 이외에 커뮤니티만의 각각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1. 코인판
웹사이트 형태로 운영되는 국내 최대의 암호화폐 커뮤니티이다. 암호화폐 투자 관련 글이 대부분이며, 블록체인 전반적인 정보 글도 두루 올라온다.
사용자가 많기 때문에 코린이들을 꼬시려는 선동 글이 많이 올라오며 목적을 알 수 없는 이상한 글이 많이 올라오기도 한다.
하지만 국내에서 이용자가 가장 많은 암호화폐 커뮤니티 인건 변함이 없다.
2. 비트맨
회원 수 기준으로 봤을 땐 코인판보다 월등히 앞선다. 비트맨은 네이버 카페를 플랫폼으로 이용하고 있는 커뮤니티이다.
암호화폐 투자 정보 관련 글이 대부분이며 선동 글이나 광고성 글, 암호화폐와 관련되지 않은 글 등은 운영자가 바로바로 삭제한다. 일 평균 방문자 수가 약 10만 명에 달하는 대형카페이다.
3. 땡글
수준 높은 전문가들이 많이 활동하는 곳이다, 특히 채굴과 관련된 정보들이 많이 올라온다. 수준 높은 대화들이 종종 오가는 곳이기에 공부하는 데 도움이 많이 된다.
하지만 지금은 채굴이 많이 일어나지 않는 시점이기에 요즘엔 기존 커뮤니티의 방향성에서 조금 벗어나 있는 건 사실이다. 커뮤니티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활동에 걸맞은 보상을 하고 있으며 ESN이라는 코인을 보상으로 지급한다.
4. 코박
국내 커뮤니티 중에서 토큰 세일을 진행하는 곳이다. 대표적으로 CPT (컨텐츠 프로토콜), TT (썬더토큰)을 성공시켰으며
그 이외에도 다수 코인들의 토큰 세일을 진행한다. 양질의 정보가 많이 올라오는 편이고, 캐시 시스템을 잘 구축해놓았으며 포럼도 굉장히 활성화되어 있는 편이다. 대체적으로 깔끔하게 운영이 잘 되고 있다.
5. 스팀잇
스팀잇은 콘텐츠를 등록하면, 제작자에게 보상을 지급하는 코인 플랫폼이다. 코인을 주제로 정보가 오갔지만 현재는 코인 이외에도 주식 등 여러 가지 정보가 혼합되어 올라오고 있다. STEEM , SBD 를 보상으로 주고 있다.
하지만 가입자가 많아지면서 신규 가입자가 좋아요, 댓글만 몇 개 달아도 당분간 황동 할 수 없게 되는 아이러니한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암호화폐 커뮤니티는 우후죽순 늘어나면서, 현재 국내 암호화폐 커뮤니티의 개수는 200여 곳이 넘는다.
현재 국내 암호화폐 커뮤니티의 개수는 200여 곳이 넘는다. 여기에 해외 커뮤니티와 정보 공유 채널, 오픈 채팅방까지 합하면 어마어마하게 많다. 정보를 공유하는 커뮤니티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닌 타인에게 불편함을 주는 행위를 막지 않는 곳도 상당수 있다.
아직은 단점을 보완해야 할 것들이 많아 보인다. 이용자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모두 노력했으면 좋겠다.
'비트밋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더 법정 공방.. 90일연장 , BTC 대량 이동 (0) | 2019.07.30 |
---|---|
유의 종족 지정 = 펌핑 예고? (0) | 2019.07.24 |
작년에 참여하면 업비트 간다고 소문났던 UDC..올해 참여자들은? (0) | 2019.07.19 |
업비트 상장을 추천한다던 올비트의 Project 5 근황 (0) | 2019.07.17 |
페이스북 '리브라' 청문회 내용은? (0) | 2019.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