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암호화폐 시장은 '김치 프리미엄'이라는 말까지 생길 정도로 정말 핫했다. 비트코인의 가격이 폭락하면서 일반 투자자들은 떠나갔고, 진정한 투자자들만 남게 되었다. 그때 생긴 것이 '거래소 코인 메타'이다. 당시엔 많은 수익을 얻게 해줬던 반면 고점에서 익절, 손절을 하지 않은 투자자의 경우에는 하한가 제한 등 가격의 변동성 자체도 사라지고 있고, 중소형 거래소들의 거래량 자체가 없어지면서 미래가 보이지 않고 있다. 해외의 경우에도 암호화폐 폭락에 거래소 코인들도 끊임없이 떨어졌다. 그러나 최근 바이낸스, 후오비 등은 IEO 메타가 성공적으로 진행되면서 기존 고점 가격이 상승하여 유지하였으나 또다시 주춤하고 있다. 그렇다면 국내 거래소 코인들의 근황을 살펴보자.
위에 표를 보다시피 최고가 기준으로 따지면 현재 가격은 엄청난 하락을 하였다. 위 거래소들은 국내에서 암호화폐를 투자한다면 알 수 있을 정도의 파급력을 가진 거래소들만 나열한 것이고, 나열된 거래소를 제외한 나머지 국내 거래소 대부분이 거래소 코인을 발급했는데, 결과는 위와 동일하다. 결과적으로 거래소 코인의 경우에는 거래량이 늘어나야 살아갈 수 있는 구조이지만, 최근 중소형 거래소들은 올스타빗부터 시작된 '먹튀'문제에 대한 위험성이 대두되면서 투자자들이 전과 같은 고액 거래를 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거래소들은 문을 닫게 되고, 제도권 밖에 있는 이 시장에서는 거래소가 문을 닫게되면 책임을 물을수 없는 구조이다. 따라서 중소형 거래소들은 돌연 파산을 신청한다며 문을 닫고 거래소코인을 투자한 투자자들에게는 거래소가 어떠한 기준도 없이 정한 가격으로 매수벽을 만들어놓을테니 매도하고 출금하라는 경우도 여럿있다. 이에 투자자들은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매도할 수밖에 없다.
혹은 거래소를 사실상 방치해놓는 경우도 있다. "너는 떠들어라 나는 무시할테니"처럼 투자자들은 살려달라고 소리치지만 꿈척하지 않는다.
암호화폐 재단들과의 상장 계약을 한 탓인지 무의미한 상장만 할 뿐 자신들이 발행한 코인에 대해서는 호재, 악재 아무것도 없는 상태
이것이 현 암호화폐 시장의 현실이다.
'비트밋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kkt 정식 출시.. Bakkt란 무엇 일까? (0) | 2019.11.11 |
---|---|
라인이 출시한 비트막스(Bitmax) 오픈..링크는? (0) | 2019.11.11 |
헤데라해시그래프, 업비트 상장 당시와 현 진행 상황 (0) | 2019.10.25 |
리플의 급등은 단순한 루머 때문? (0) | 2019.10.25 |
퓨마페이 x OKEx 밋업 후기 (0) | 2019.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