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인의 블록체인 사업 자회사인 LVC가 일본 금융청(FSA)으로부터 거래소 인가를 취득한지 약 11일 만에 비트막스(BITMAX.me) 라는 이름으로 거래소를 출시했다. (기존 비트막스(Bitmax.io)는 전혀 관련이 없다.) 일본 내 라인의 인기는 월 이용자수 8,100만명에 달하는 마치 한국의 카카오톡처럼 일본 국민 앱 알려져 있는 가운데 라인 페이, 계좌를 통해 엔화로 입출금이 가능하다.
이러한 소식에 LVC가 발행한 링크(LN)에게도 호재로 작용이 돼서 금융청 발표 직후 45%까지 상승하였었다. 그러나 비트막스는 링크는 거래를 할 수가 없다. 정작 금융청으로 링크는 인가를 받지 못했기 때문에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리플(XRP), 비트코인(BCH), 라이트코인(LTC)에 대해서만 거래를 지원하기에 사실상 링크는 기존 비트박스(Bitbox.me)에서만 거래를 할 수 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앞서 사례를 봤을 때 일본 금융청으로 인가를 받은 이후 상장폐지는 가능하지만, 신규 추가 상장은 매우 어렵다고 전했다.
결국엔 일본 내에서 링크를 거래하기 위해서는 VPN을 통해 IP(국적) 변경을 해야지만 거래할 수 있다. 또한 접속만 됐다고 거래를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비트박스의 경우 이용전 KYC 인증이 필수사항이기 때문에 일본인들의 링크 거래는 매우 어렵다. 따라서 링크를 보유한 투자자들에게는 위 내용이 "호재긴 호재이지만, 뭔가 아쉽다는 느낌이 든다고 전했다."
다음은 라인이 밝힌 거래소 이용 안내이다.
1. 신원 확인 절차(은행 계좌 연결, KYC 인증, 우편을 통한 신분 인증)
2. 라인 계정 보유자
3. 일본 거주
4.20-74세
'비트밋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끊이지 않는 거래소 해킹사건.. 이번엔 비트소닉? (0) | 2019.11.11 |
---|---|
Bakkt 정식 출시.. Bakkt란 무엇 일까? (0) | 2019.11.11 |
그 많던 거래소 코인들 어떻게 됐을까? (1) | 2019.11.11 |
헤데라해시그래프, 업비트 상장 당시와 현 진행 상황 (0) | 2019.10.25 |
리플의 급등은 단순한 루머 때문? (0) | 2019.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