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 코인 이란?
스테이블코인은 기존 암호화폐가 가지고 있는 가격 변동성과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암호화폐이다. 스테이블 코인은 ‘기존의 화폐 또는 실물자산과 연동시켜 가격 안정성을 보장’하는 암호화폐이며, 종류는 크게 법정화폐 담보형(Fiat-Collateralized Stablecoin), 암호자산 담보형(Crypto-Collateralized Stablecoin), 그리고 무담보형(Non-Collateralized Stablecoin), 3가지로 구분되며, 스테이블(stable : 안정적인) 의미 그대로 안정적인 교환 수단과 가치 있는 디지털 상점을 제공한다.
스테이블 코인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일까?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하는 이유는 스테이블코인의 가치 안정성과 더불어 결제와 송금기능에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를 활용하기 위해서 이다.
블록체인을 활용한 암호화폐 형태의 스테이블코인을 결제와 송금분야에 사용하게 되면 송금 절차를 단순화시켜 수수료를 줄일 수 있고, 현재 해외 송금 시 국제은행통신협회 스위프트를 거쳐야 하지만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면 직거래가 가능해진다. 중개자가 없어진다는 장점이 생김과 동시에 송금 속도도 높일 수 있다.
스테이블 코인의 종류
스테이블 코인의 종류는 크게 법정화폐 담보형(Fiat-Collateralized Stablecoin), 암호자산 담보형(Crypto-Collateralized Stablecoin), 그리고 무담보형(Non-Collateralized Stablecoin) 이렇게 3가지로 구분된다. 각각 다른 원리를 적용하여 화폐를 일정한 시세로 유지시킨다.
스테이블 코인에 많은 관심이 모이고 있는 이유는 암호화폐의 잠재력 덕분이다. 암호화폐의 시세 변동 문제가 해결된다면 기존의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때 암호화폐를 사용할 수 있고, 더불어 빠르고 저렴한 수수료로 해외 송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 중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Tether와 true USD는 법정화폐 담보형 스테이블코인에 속한다.
법정화폐 담보형이란, 본인 계좌에 법정 화폐를 담보로 예치해두고 그 양에 해당하는 토큰을 발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많은 경우 1 달러(USD)와 1:1 비율로 환전할 수 있는 토큰을 발행한다.
Tether는 독자적인 기관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 주요 거래소에서 기축통화 격으로 활용되고 있다. 시가총액은 무려 20억 달러 이상이다.
True USD는 Tether에서 문제가 되었던 점들을 보완하여 추후에 등장한 스테이블코인이다. 스마트 컨트랙을 통해 TUSD를 발행하여 투명성을 높이고, 신뢰성을 확보했다.
마지막으로 암호화폐가 사람들에게 그 가능성과 가치를 인정받아 현실에서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이 가격변동성 문제에 대한 해결이 무조건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에따라 가격변동성이 상대적으로 적은 스테이블코인이 앞으로도 더 주목받지 않을까?
'비트밋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호화폐에 대한 전망이 밝은 이유 (1) | 2019.12.04 |
---|---|
국정감사까지 불려간 코인제스트 대표, 출금은 언제쯤? (0) | 2019.12.04 |
빗썸..다음 입출금 재개는? (0) | 2019.12.03 |
EOS Block Producer? (0) | 2019.12.03 |
바로셀로나,레알마드리드 팬클럽 코인? 아프리카 BJ코인? (0) | 2019.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