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61) 썸네일형 리스트형 테더 법정 공방.. 90일연장 , BTC 대량 이동 29일이뤄진 청문회에서 뉴욕 검찰과 테더(Tether)가 이어왔던 법정 공방이 90일 연장됐다. 이에 사법권에 대한 결론이 나기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 - NYAG (뉴욕 검찰총장)에 비트 파이넥스(BItfinex)의 관할권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지속적인 법정 분쟁 난관 봉착 - 양측은 관할권에 대한 찬반 주장 - 판사는 당일 결정을 내리길 원했지만, 결국 연기 iFinex는 거래소가 서비스 조건에 따라 고객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 대한 사법권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Tether 서비스 조항은 미국 이용자를 전적으로 배제한다"면서, "뉴욕 이용자들이 Tether 서비스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라고 전했다. 이에 NY.. 22시만 되면 비트맥스엔 비명이 가득하다? 요즘처럼 잠잠한 코인 시장에도 언제나 활발하게 유지되고 있는건 마진거래 일 것이다. 마진거래는 공매수, 공매도로 코인의 가격이 올라간다 or 떨어진다 를 예측하는 것인데, 최근 대표 마진거래소 비트맥스엔 22시의 비명이 자주 들려온다. 과연 무엇일까? 글쓴이도 종종 소액으로 마진거래를 즐기는 일반 유저이다. 이제 오를 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에 롱포지션을 잡고 잠시 다른일을 하고 있는사이에 알림창에 울리는 한가지 카톡을 보았다. 22시만 되면 무조건 폭락이라는 말에 비트맥스 거래소를 가보았더니, 1만달러를 지키고 있던 비트코인이 9600달러까지 떨어졌다. 도대체 비트맥스는 22시에 무슨일들이 일어났었던 걸까? 그리고 카톡의 내용은 사실일까? 한번 찾아보았다. 왼쪽부터 23일, 24일,.. 유의 종족 지정 = 펌핑 예고? 지난 19일 업비트는 머큐리(MER), 뫼비우스(MOBI)에 대해 유의 종목으로 지정하였다. 업비트는 유의 종목이라며, 지정된 암호화폐 프로젝트팀과 커뮤니케이션을 진행 후 지정 사유에 대해 소명되지 않을 경우 상장폐지시키는 제도이다. 머큐리는 본래의 사업이 진행되지 않고 있으며 투자자와 의사소통이 오랜 기간 동안 이루어지지 않으며, 낮은 유동성으로 인해 시세 조작이 쉽다는 점에서 지정되었다. 뫼비우스 또한 사업적 진전이 확인되지 않으며, 투자자와의 의사소통 또한 작년 이후 이루어지지 않았고 낮은 유동성으로 시세 조작이 쉽다는 이유였다. 이에 공지 게시 전 53.4원이던 머큐리는 4시간 만에 32.6% 하락한 36원까지 하락하였다. 뫼비우스는 동일 기간 약 50% 하락하였다. 이랬던 머큐리와.. 암호화폐 커뮤니티 어떤 곳들이 있나? 비트코인이 처음 탄생하고 난 후, 여러 알트코인들이 생겨나면서, 암호화폐에 대한 관심은 더욱 커져 갔다. 이러한 관심들을 답변이라도 해주 듯 암호화폐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커뮤니티가 많이 생겨났다. 지금은 어떠한 곳들이 있고, 유저들은 어떤 곳을 많이 이용하는지 한번 살펴보자. 위 자료는 한 통계업체에서 조사한 암호화폐 커뮤니티 표이다. 업로드 콘텐츠, 조회 수, 댓글, 회원 수 등을 수집해서 활성화 지수라는 수치로 종합하여 나타냈다. 암호화폐 커뮤니티를 이용해 본 유저라면 한 번쯤은 이용해 보았을 커뮤니티들이 상위권에 노출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 다른 표를 보게 되면 조회 수가 50개 이상 되는 콘텐츠의 수를 그래프로 나타냈는데, 기존부터 유저들이 활발하게 이용하던 곳, 아.. 비트코인 도미넌스에 대해 알아보자. BTC가 내려가는데 왜 내가 산 코인도 내려가지? BTC는 떡상하는데 왜 내가 산 코인은 또 떨어지지? 이런 궁금증을 가진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이 현상을 이해하려면 한 가지 개념이 필요한데 그것이 바로 비트코인 도미넌스이다. 비트코인 도미넌스 란? 비트코인의 시가총액이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 중 얼만큼의 비중을 차지하느냐를 뜻한다. 즉. 비트코인이 암호화폐 총 시가 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말하는 것이다. 주황색 선이 비트코인의 시가총액을 나타내는 선이다. 비트코인과 각종 알트코인들의 점유율을 확인할 수 있다. 위 차트를 보게 되면 주황색 선이 비트코인의 시가총액을 나타내는 선이다. 그 이외에 암호화폐별로 다양한 색으로 표시해 놓았다. 차트를 보면 2017년 7월경, 그리고 .. 작년에 참여하면 업비트 간다고 소문났던 UDC..올해 참여자들은? 지난 5월에 작성했듯(두나무, 개발자 컨퍼런스 개최..작년을 보면) 이곳에 발표자로 나오면 업비트의 상장할 확률이 높다는 두나무 개발자 컨퍼런스의 라인업이 2차까지 공개되었다. 라인업을 살펴보았을 때 두나무 관계자와 단순한 암호화폐 플랫폼 관련된 참여자를 제외하고서 발표자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암호화폐들만 아래의 표를 만들어보았다. 1.보라(BORA) 보라는 비트렉스(Bittrex)에 상장되어 있고, 비트밋 기준 0.00000317 BTC(39.27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ERC20 기반이며, 발행량은 1,325,000,000 BORA 유통량은 공개되어 있지 않다. 비트밋 기준 시가총액 2012위이다. 한편 보라를 만든 웨이투빗의 투자자는 두나무와 카카오게임즈가 있다. 2.링크(L.. 업비트 상장을 추천한다던 올비트의 Project 5 근황 업비트의 운영사인 두나무가 투자한 올비트(Allbit)는 거래소이다. 업비트를 운영하는데 암호화폐 거래소에다가 또 투자했다는 것이 이해가 안 될수도 있지만, 업비트와 올비트는 암호화폐 사고파는 중계업자라는 것만 동일하고 내용은 완전히 다르다. 차이점은 업비트는 중앙화, 올비트는 탈 중앙화이다. 이러했던 올비트는 Project 5라며, 이벤트를 개최했었습니다. 이벤트 내용은 올비트내에서 5가지 프로젝트(암호화폐)들이 경쟁하고, 순위를 매겨 상위 3가지 프로젝트에게 업비트 원화 마켓 추천을 해준다는 내용이었습니다. 다시 한번 올비트가 만든 이벤트에 대한 PDF를 다시 한번 살펴보면 AxU 입니다. A는 올비트의 A U는 업비트의 U겠죠? 이벤트는 나름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업비트 원화 마켓에 대한.. 페이스북 '리브라' 청문회 내용은? 리브라와 같은 가상화폐는 이전부터 돈 세탁, 불법활동과 연관되어 있어왔다. 리브라가 금융 시스템에 접근하려면 매우 높은 기준이 필요할 것이다 - 스티브 므누신 미 재무장관 - 최근 트럼프 대통령, 스티브 므누신 미 재무장관이 페이스북 '리브라'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밝힌 가운데, 리브라의 수장 데이비드 마커스가 참석한 리브라 청문회가 열렸다. 데이비드 마커스는 미국 규정을 준수할 것을 거듭 강조를 했다. 청문회의 주 내용은 다음과 같다. 데이비드 마커스는 미국 규정을 준수함을 거듭 강조를 했다. 1. 스위스 리브라 협회 본사 리브라 협회가 스위스에 본사를 둔 부분이 거론되었다. 미국 당국의 감독을 피하기 위한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쏟아졌다. 이에 데이비드 마커스는 "미국의 모든 규정을 준수하겠다고 다시..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21 다음